[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올해 `건물 에너지 신고ㆍ등급제`에 참여한 공공ㆍ민간 건물 5987개동을 평가한 결과 53.4%가 정부의 관리 목표 기준을 넘겼다고 이달 14일 밝혔다.
건물 에너지 신고ㆍ등급제는 서울시 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는 건물부문 온실가스를 적극적으로 줄이기 위해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서울시가 도입했다. 전년도 사용한 에너지(전기ㆍ도시가스ㆍ열에너지)를 건물 관리자가 신고하면, 시가 건물의 용도ㆍ규모에 따라 단위 면적당 사용량 기준 5개 등급(A~E)으로 평가한다.
신고 대상은 공공건물 연면적 1000㎡ 이상, 민간건물 연면적 3000㎡ 이상의 비주거용 건물이다. 이번 평가에는 서울에 소재한 건물 1만5000여 동 중 약 42%에 해당하는 총 6322개동(공공 3331개동ㆍ민간 2991개동)이 참여했다. 이는 전년(4281개동)보다 약 1.5배 증가한 수치다.
시는 지난해 준공 등 일부 평가가 불가한 건물을 제외한 5987개동에 대해 등급을 산정했다. 평가된 건물 중 92.2%는 A~C 등급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산업통상부의 `관리 목표`인 B등급 이상은 53.4%로, 2년 연속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건물 중 A등급은 5.3%, B등급 48.1%, C등급 38.8%, D등급 6.0%, E등급 1.8%였다.
시는 건물을 관리하는 소유주 또는 관리자가 건물 에너지사용량 관리를 위해 노력해 온 결과, 관리 목표 기준 등급인 B등급이 지난해 대비 2.1%P 증가한 53.4%를 차지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평균 등급인 C등급 비율도 38.8%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달 15일부터 저탄소건물지원센터 누리집에 최종 등급을 공개한다. 올해 참여 건물 중 83%가 등급 공개에 동의했다. 등급 공개 여부는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나 공개율이 지난해보다 약 10%p 증가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참여 건물들은 `건물 에너지 신고ㆍ등급 시스템`에서 등급표를 다운로드 후 건물의 주 출입구에 게시해 건물 이용자나 방문객에게 건물 에너지 사용 정도를 알릴 수 있다.
시는 에너지사용량이 적은 A~B등급 중 `서울형 저탄소 우수건물`을 선정해 오는 12월 중 시상할 계획이다. 또 D~E등급 건물의 에너지 사용 실태조사 후,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무료 전문가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연결ㆍ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온실가스의 약 70%가 건물에서 발생하는 만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사용량 감축이 필수적"이라며 "건물 에너지사용량 법적 신고 의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6322개동의 건물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로 민간과 지자체가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적극적 에너지관리 정책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올해 `건물 에너지 신고ㆍ등급제`에 참여한 공공ㆍ민간 건물 5987개동을 평가한 결과 53.4%가 정부의 관리 목표 기준을 넘겼다고 이달 14일 밝혔다.
건물 에너지 신고ㆍ등급제는 서울시 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는 건물부문 온실가스를 적극적으로 줄이기 위해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서울시가 도입했다. 전년도 사용한 에너지(전기ㆍ도시가스ㆍ열에너지)를 건물 관리자가 신고하면, 시가 건물의 용도ㆍ규모에 따라 단위 면적당 사용량 기준 5개 등급(A~E)으로 평가한다.
신고 대상은 공공건물 연면적 1000㎡ 이상, 민간건물 연면적 3000㎡ 이상의 비주거용 건물이다. 이번 평가에는 서울에 소재한 건물 1만5000여 동 중 약 42%에 해당하는 총 6322개동(공공 3331개동ㆍ민간 2991개동)이 참여했다. 이는 전년(4281개동)보다 약 1.5배 증가한 수치다.
시는 지난해 준공 등 일부 평가가 불가한 건물을 제외한 5987개동에 대해 등급을 산정했다. 평가된 건물 중 92.2%는 A~C 등급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산업통상부의 `관리 목표`인 B등급 이상은 53.4%로, 2년 연속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건물 중 A등급은 5.3%, B등급 48.1%, C등급 38.8%, D등급 6.0%, E등급 1.8%였다.
시는 건물을 관리하는 소유주 또는 관리자가 건물 에너지사용량 관리를 위해 노력해 온 결과, 관리 목표 기준 등급인 B등급이 지난해 대비 2.1%P 증가한 53.4%를 차지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평균 등급인 C등급 비율도 38.8%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달 15일부터 저탄소건물지원센터 누리집에 최종 등급을 공개한다. 올해 참여 건물 중 83%가 등급 공개에 동의했다. 등급 공개 여부는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나 공개율이 지난해보다 약 10%p 증가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참여 건물들은 `건물 에너지 신고ㆍ등급 시스템`에서 등급표를 다운로드 후 건물의 주 출입구에 게시해 건물 이용자나 방문객에게 건물 에너지 사용 정도를 알릴 수 있다.
시는 에너지사용량이 적은 A~B등급 중 `서울형 저탄소 우수건물`을 선정해 오는 12월 중 시상할 계획이다. 또 D~E등급 건물의 에너지 사용 실태조사 후,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무료 전문가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연결ㆍ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온실가스의 약 70%가 건물에서 발생하는 만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사용량 감축이 필수적"이라며 "건물 에너지사용량 법적 신고 의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6322개동의 건물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로 민간과 지자체가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적극적 에너지관리 정책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